
💔 이혼 시 재산분할과 양육비! –
비율, 계산법, 판례, 서류, 유의사항 완벽 정리!
이혼 시 가장 많이 다투는 부분은 재산분할과 양육비입니다.
혼인 중 함께 형성한 재산과 부채를 기여도에 따라 나누고,
자녀가 있는 경우 표준 양육비 기준표에 따라 양육비를 산정해야 합니다.


1. 재산분할 정리
- 대상: 혼인 중 형성된 모든 재산(부동산, 예금, 주식, 퇴직금, 연금 포함)
- 제외: 상속·증여 등 특유재산(단, 가치 상승분 일부는 포함 가능)
- 비율 기준: 통상 50:50, 실질 기여도에 따라 6:4, 7:3까지 가능
- 채무 포함: 공동명의 대출, 생활비 목적 채무 포함


2. 재산분할 법적 비율 & 계산 순서
- 기본 비율: 5:5 비율로 시작, 실질 기여도 따라 6:4, 7:3 등
- 비율 계산 순서:
- 전체 재산 및 채무 목록 작성
- 기여도 설정 (소득, 가사·육아 기여도 등)
- 기여도 비율에 따라 재산액 분할
- 이미 보유한 재산 고려 후 차액 정리
예: 총 재산 1억, 기여도 6:4 → 각각 6천만·4천만 → 현재 보유 8천만·2천만 시, 2천만 차액 정산


3. 재산분할 판례 & 비율 정리
1. 대법원
- 핵심: 혼인 전·증여 재산이라도 가사·육아 기여로 가치가 증가한 경우 분할 대상 포함 가능
- 비율: 명의 재산 기여자에 대한 가사 기여도가 비슷하면 50:50 수준 유지됨.
2. 서울가정법원
- 핵심: 별거 중 형성된 재산은 공동 기여와 무관 → 분할 대상 제외
- 비율: 동거 기간 10년 미만 전업주부에게는 30–39%, 10–20년은 40–49%, 20년 이상은 50–59% 범위 인정
3. 부부 특유재산 기여도 인정 판례 (≈15%)
- 핵심: 혼인 전 취득 특유재산이어도 부양 기여 시 일부 분할 가능
- 비율: 혼인 기간 7년, 가사·양육 위주 기여 → 15% 인정, 약 2억 5,662만 원 분할 결정
4. 퇴직연금 분할 – 공무원 사례
- 핵심: 퇴직연금도 공동 형성 시 분할 대상
- 비율: 대법원은 35–50% 범위에서 분할 인정, 구체 비율은 기여도·연령·상황 종합 평가
5. 종합 정리
판례 요지인정 비율핵심 기준
가사·육아 기여 (2009.6.9.) | ≈50:50 | 협력 기여 인정 시 평등 분할 |
별거 중 재산 제외 (2006.11.16.) | 30–59% | 동거 기간 따라 차등 |
특유재산 기여 (≈15%) | 15% | 가사·양육·부양 기여만 인정 |
퇴직연금 분할 | 35–50% | 퇴직연금도 공동 자산으로 인정 |


4. 재산 분할시 양육비 계산법 (구체 공식 포함)
1.양육비 기본 기준
- 표준양육비는 서울가정법원이 2021년 공표한 ‘양육비 산정기준표’에 기반합니다
- 예: 부모 소득합계, 자녀 연령, 가족 구성 등에 따라 금액이 다릅니다.
2. 양육비 산정 순서
- 부모 합산 소득: 근로·사업·임대·이자·연금 등 세전소득 합산
- 표준 양육비 확인: 소득 구간과 자녀 나이 구분별 평균 금액 (예: 약 62만1000원)
- 가·감 산정 요소 적용: 거주지역, 자녀 수, 고액 치료·교육비, 재산상황, 개인회생 여부 등
- 비양육자 분담 비율 계산: 표준 총액 × 비양육자 계수(예: 60%) = 월 납부액
3. 양육비 계산법 요약
- 기준표 적용: 부모 합산 소득 + 자녀 나이 기준 (서울가정법원 기준표)
- 비양육자 부담률: 50~70%
- 예시: 소득 300만원, 자녀 5세 → 월 양육비 약 45만원
- 산정 기준: 자녀 수, 지역, 교육비, 병원비 등 조정 가능
4. 양육비실제 사례 및 판례
1. 합산 소득 1천만 원, 자녀 3세인 경우: 남편이 월 100만원 양육비 지급 판결
2. 합산 소득 300만 원대, 자녀 5세 → 표준 약 75만 2천
3. 도심 거주(+가산), 자녀 1명(+가산), 특별 교육 없을 경
4. 비양육자 비율 60% 적용 → 월 45만 1천 원 지급
5. 평균 증액 추세
(표준양육비의 최저액 53만→62만, 최고액 266만→288만으로 약 16.7% 인상)


5. 필요한 서류
- 재산 목록(등기부등본, 잔고증명, 주식, 보험 등)
- 소득 증명(건보납입증명, 원천징수영수증 등)
- 가족관계증명서, 양육비 산정표, 협의이혼확인서 등


6. 유의사항
- 재산분할 및 양육비 청구는 이혼 후 2년 이내 가능
- 양육비는 향후 변경 청구 가능(소득 변동 등)
- 협의이혼 시에도 서면 정리 필수 (합의서 또는 공증)


7. 자주 묻는 질문 요약 (Q&A)
- 재산분할 50:50 고정인가요? → 실질 기여도 따라 변경 가능
- 양육비 계산 기준은? → 부모 소득, 자녀 나이 기준표 적용
- 재산 숨기면 어떻게 되나요? → 2년 내 추가 청구 가능
- 전 배우자 채무도 책임지나요? → 혼인 중 공동 채무는 포함
- 합의이혼 먼저 해야 하나요? → 시간·비용 절감 측면에서 추천


8. 시사점 & 실무 팁
- 혼인 기간과 기여 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 별거 전 자산과 협력 기간을 정확히 구분해야 유리합니다.
- 특유재산도 일부 분할 기대 가능하므로, 기여 사실을 꼼꼼히 기록하세요.
- 퇴직연금·연금도 분할 대상이니 서류로 준비 필요합니다.


📝 마무리
이혼은 감정의 문제가 아닌, 법과 돈의 문제입니다.
정확한 정보와 서면 증거, 전문가 조언이 곧 재산과 권리를 지키는 무기입니다.
이혼 !무료상담 ,유료상담,온라인상담 비교 총정리?
이혼! 무료상담, 유료 상담, 온라인 상담비교 총정리?"남편과 결국 이혼을 결심했습니다. 그런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네요..."이혼을 고민하는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필요로
okdk3.tistory.com